드라마 정보

드라마 개요

오늘썬 2024. 3. 31. 21:12
반응형

드라마 개요

드라마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데, 의미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장르적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와 결합해서 쓰인다.

드라마 장르 정의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드라마" 또는 "극적"이란 표현을 흔히 사용한다.

"그것은 한 편의 장렬한 DRAMA였다"라든가 "극전 역전승" "극적 상봉" "극적 탈출" 뿐인가 유행가 가사에도 "인생은 연극이 아닙니다"라는 구절이 들어있다.

이럴 경우는 대개 사실이 아닌 꾸며진 세계, 긴박감과 반전을 내포하고 있는 거짓말 같은 사실 정도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DRAMA는 원래 희랍어로서 "행동하다" "나타낸다"라는 뜻의 DRAN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행동이라는 단순한 행위가 아닌 뚜렷한 동기와 목적을 가진 행위로서 무엇인가 하려는 의지가 담긴 행동을 뜻하며 그 행동 속에는 감정이 포함되어 있다.

즉 무엇인가 나타내려는 행위, 스토리를 가진 행위가 드라마의 원형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행동의 또 하나의 의미는 DRAMA는 배우의 행동을 통해서 보여진다는 사실이다.

드라마 등장 배경

헐리우드 영화사를 보면 영화산업이 가장 호황을 누렸던 때가 미국의 대 경제 공황시기였다.

기업이 도산하고 실업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영화산업이 그토록 번창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일까?

대답은 간단하다.

동전 몇닢만 투자하여 극장에 가면 배고픔도 실직도, 암울한 현실도, 내일에 대한 불안도 깡그리 잊을 수 있었던 것이다.

적어도 몇시간 동안은 무미건조한 일상으로부터 도피하고 싶은 충동, 즉 극 중 체험을 통해서 개인적인 실제체험을 잊어버리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욕구 때문에 사람들은 극장을 찾게 되며 실제 생활보다 멋있는 장면 속의 생활에 도취되어 일상생활에서 겪는 여러 가지 근심걱정 따위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던 것이다.

 

장르 드라마가 자리잡게 된 이유

"DRAMA는 인생의 모방이지 인생 그 자체는 아니다"라고 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이것이 담고 있는 세계는 사실이 아닌 가공의 세계요, 픽션의 세계이다. 

그러나 픽션은 단순히 허구라고 옮긴 데서 오는 착각이 있다.

픽션을 '진실이 아닌 것, 거짓말' 정도로 간단히 생각해 버리는 잘못이 그것이다.

즉, 픽션이란 허구라기보다는 개연성, 필여선, 당위성,으로 이해라는 것이 훨씬 그 본래의 뜻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된다.

개연성리한 어떤 사건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일정한 조건, 즉 사건의 동기나 원인을 제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건 제시를 통해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결말로 치닫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거짓의 세계를 얼마나 '진짜인 것처럼'보여 주느냐 하는 데에서 생명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똑같은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문학으로서 보다는 DRAMA를 통해서 볼 때 살아 있는 배우의 행동을 통하여 사실처럼 생생히 묘사됨으로써 강렬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배우의 행동을 통해서 관객을 스토리 속에 몰입시키고 사실과 같은 강렬한 충격을 주는 것이 바로 드라인 것이다.

웹스터 사전에는 "산문이나 시로 구성해서 행동으로 적응시키고 인생 과 인물을 표현하거나 이야기를 전달하는데 보통 행동에 기초를 두어 어떤 결과를 초래케 하는 대사에 의지해서 이야기를 전달한"라고 정의하고 있다.

결국 인간행동의 모방이며 그러한 행동을 야기시키는 인간의 심성과 인간의 삶에 대한 연구, 즉 인간 탐구가 그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

반응형

'드라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드라마 분류  (1) 2024.04.03
드라마 종류  (0) 2024.04.02
라디오 드라마  (0) 2024.04.02
TV 드라마  (1) 2024.04.01
드라마 구성 요소  (1)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