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드라마
TV는 국민들의 여가시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산업적 영향력이 매우 크다.
16부작 미니시리즈는 평균 20~30% 내외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드라마가 청소년 등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상당하다.
드라마의 산업적 중요성은 해외 수출과 맞물려 더욱 높아져왔다.
전세계적으로 사랑을 받는 드라마 덕분에 한국의 드라마 산업 역시 호황을 맞이하였다.
TV 드라마의 내용 구성
TV 드라마는 사회적 현실을 재구성한다.
이와 유사한 주장으로 TV 프로그램의 변화는 소비자가 주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즉 TV DRAMA의 내용은 사회적 현실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특히 시청자의 기호와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변화가 DRAMA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패닉 혹은 아시아계와 달리 미국 TV 프로그램에서 흑인 캐릭터의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1960년대 후반 6%에 불과하던 흑인 캐릭터가 1970년대 8%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1980년대에는 12%까지 증가하였고 1990년대 초반에는 14% 수준까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흑인 캐릭터 비중의 변화에는 흑인 시청 시간의 증가라는 원인이 숨어있었다.
이와 유사한 예로 드라마 속의 남성과 여성의 역할, 그리고 이들의 직업에서도 찾을 수 있다.
즉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향상은 TV DRAA 속 여성 캐릭터의 위상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환경이 TV 드라마에 미치는 영향
예를 들면 경제적 상황이 특정 DRAMA 장르인 범죄 드라마 시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구체적으로 미국, 캐나다, 독일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인으로는 실업률을 종속변인으로는 범죄 드라마의 인기를 설정한 뒤 이 둘 변인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과 캐나다에서 실업률과 범죄 DRAMA 인기도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이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요구를 반영 혹은 설명한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한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에 변화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