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정보

역사 드라마

오늘썬 2024. 4. 8. 21:56
반응형

역사 드라마

90년 후반부터 TV 방송 편성에서 유독 강세를 보이고 있는 장르로, 다른 장르 DRAMA들처럼 시청자들에게 극적 갈등과 긴장감 속에 전개되는 이야기를 통해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지만, 과거의 역사적 사실들을 소재로 하여 다시 재현되는 DRAMA라는 점에서 성격을 달리할 뿐이다.

 

역사 드라마 정의

일반적으로 역사극 혹은 사극이라 불리는 역사드라마는 본래 희곡의 제재별 분류에 따른 개념으로, 역사적인 인물이나 사건을 소재로 한 DRAMA이다.

역사 드라마는 넓은 의미에서 시대극 및 현대극과 구별되나, 다만 창작 방법상의 문제에 지나지 않는 수도 흔히 있기 때문에 시대극및 현대극과의 구분은 그다지 명확하지 않은 편이다.

역사 드라마의 창작 또한 과거에 입각하여 현대적인 입장과 시각을 보여주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미화하거나 왜곡하는 등 현실 도피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각광받는 장르였던 역사 드라마

21세기 초엽 역사 드라마는 우리나라 TV에서 가장 각광받는 장르였다. 

2003년에 들어와 그 바람이 한풀 꺾인 듯하지만, 방송사마다 역사 드라마 제작 열풍은 한창이다. 

이러한 역사 드라마 제작 열풍은 고려말 조선초의 정치사를 다룬 대하 DRAMA , 동의보감 으로 유명한 조선시대의 명의 허준을 다룬 DRAMA 이 인기를 끌면서 시작되었다. 

그 열기가 조금은 식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주중, 주말의 황금시간대에 포진하고 있는 것이 역사 드라마이다. 

예전부터 역사 드라마는 고정 시청자층을 확보할 수 있어 언제나 부담 없이 제작되고는 하였다. 

그 내용 또한 궁중 여인네의 사랑과 암투 내지는 권력 다툼 등이 주된 줄거리였다. 

그런데 이 막대한 제작비를 투입하여 전에 볼 수 없는 화려한 의상, 웅장한 스케일 등을 자랑하면서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사극의 소재

사극은 전통적인 남성의 영역이므로 권력암투의 역사에서 여성은 항상 주변적이었다. 

여성이 중심인물로 등장할 때조차 여성들은 왕의 승은을 얻어 신분상승과 권력을 얻기 위해남성들의 판에 끼어들어 온갖 음모와 책략을 일삼는 부정적인 주체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대장금, 다모, 황진이등에서 여성캐릭터는 능동적으로 자신의 영역을 일궈내는 적극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으로 묘사되며, 권력의 주변부에 위치한 부수적 존재로서의 여성을 갈등과 화해의 중심부로 불러들였다. 

역사 속 여성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그들에 대한 역사의 기록 자체가 많지 않고, 또한 작가의 상상력 개입이 자유로운 장르 특성상 여성들의 시대적 요구가 잘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난정의 권력욕과 몰락을 다룬 여인천하와 숙종을 사이에 두고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가 벌인 갈등을 다룬 장희빈은 여전히 선호되는 소재였다. 

2000년대 사극의 또 하나의 특징은 야사가 퇴조한 점이다. 

어사 박문수도사극에서 흔하지 않게 코믹터치로 접근하였지만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다.

사극에서도 감각적인 볼거리의 향연이 역사적 사실, 이념, 가치보다 우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외 서사의 측면에서 2000년대 사극은 역사적 맥락과 개인의 업적에 초점을 맞췄던 1980∼1990년대의 정통사극과 달리 등장인물들의 인간적 고뇌와 감성을 섬세하게 표현하는 데 집중하였다.

이산이나 불멸의 이순신이 그러한 작품들이다.

1990년대 중ㆍ후반 이후 역사 드라마의 급부상은 역사적이고 기록적인 서술에 의존하기보다는 상상적 서술방식을 통해 역사적 개연성과 허구성의 외연을 넓힘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사극은 역사의 빈 공간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채우는 작업이므로, 과거의 재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적 해석이 개입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장르이다.

그래서 역사 드라마는 동시대의 꿈과 욕망을 반영한다고들 한다.

현재 DRAMA에서의 리얼리티는 사극장르에서도 무게감을 상실한 것이 사실이며, 시청자들은 텔레비전 DRAMA의 ‘faction’에 몰입하고 있다.
한편 “현재적 의미”를 강조하여 역사 드라마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의 이야기를 담아야 한다는 논의도 제기되었다. 

 

현재의 문제를 발견케 하는 역할

역사 드라마는 과거의 역사를 오늘의 현실로서 해석하여 시청자들이 역사 드라마를 통해 현재의 문제를 발견케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과거의 사실은 단순히 과거로 여겨지지 않고 그것을 현재와 연결하여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준거틀과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역사 드라마는 그 안에 “역사의거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대답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반응형

'드라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장 드라마  (1) 2024.04.10
미니시리즈  (0) 2024.04.09
시트콤  (1) 2024.04.07
농촌 드라마  (9) 2024.04.06
단막 드라마  (1) 2024.04.05